[사진=쿠팡 제공] 택배노동자 과로 방지를 위한 새벽배송(0시~5시) 금지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사회적 논란이 커지고 있다. 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조가 정부 주관 사회적 대화기구에서 심야 배송 제한을 공식 제안하자, 소비자와 유통업계, 정치권이 각각 상반된 입장을 내놓고 있다. 택배노조는 “밤샘 근무로 인한 과로사 위험이 여전히 높다”며 “야간 노동을 줄이고 오전 5시 이후 배송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새벽배송 완전 중단보다는 2교대 근무 체제 도입 등 점진적 개선을 요구하고 있으나, 사실상 현재의 새벽배송 서비스는 중단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반면 소비자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맞벌이 부부와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새벽배송은 이미 생활 인프라”라는 인식이 확산돼 있다. 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새벽배송 이용자의 98.9%가 계속 이용하길 원하며, 서비스 중단 시 64.1%가 불편을 호소했다. 유통업계도 비상이다. 쿠팡, 마켓컬리, SSG닷컴 등 주요 업체들은 새벽배송이 사업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금지안이 현실화될 경우 물류망 재편과 대규모 손실이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배송이 주간에 몰리면 교통 혼잡과 물류 지연이
지난달 9일 서울 종로 네이버스퀘어에서 열린 ‘네이버 커머스 밋업’ 현장. 새벽배송 전문 기업 마켓컬리와 네이버가 전략적 제휴를 맺으며 유통업계의 시선이 집중됐다. 단순한 협업을 넘어 네이버가 지분 투자까지 단행하면서, 쿠팡의 독주 체제를 견제하고 커머스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행보로 해석된다. 13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컬리는 네이버와의 협력을 통해 ‘컬리N마트’를 새롭게 선보였다. 컬리의 신선식품 새벽배송 역량에 네이버의 방대한 데이터 자산을 더해 온라인 장보기 경험을 한 단계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이다. 컬리는 최근 평택(약 725억 원), 김포(약 300억 원) 등 수도권 거점에 자동화 설비를 갖춘 대형 물류센터를 잇따라 구축하며 물류 인프라 확충에 나섰다. 냉장·냉동 전 과정을 통합한 콜드체인 시스템도 완비해 물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김슬아 컬리 대표는 “이미 구축된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해 효율을 높이는 것이 목표”라며 “센터가 꽉 찰 만큼의 물량을 확보하는 것이 당면 과제”라고 밝혔다. 네이버는 이번 협업을 통해 CJ대한통운의 전국 당일·익일 배송망과 컬리의 새벽배송망을 동시에 활용하는 ‘투트랙 물류 체계’를 구축했다. 이에 따라 네이버 스마트스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