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새벽배송 금지 논란, ‘생활 편의’와 ‘노동 안전’ 사이 갈등 고조

소비자 불편 우려 속 택배노조 “과로사 막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 주장

[사진=쿠팡 제공]

 

택배노동자 과로 방지를 위한 새벽배송(0시~5시) 금지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사회적 논란이 커지고 있다. 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조가 정부 주관 사회적 대화기구에서 심야 배송 제한을 공식 제안하자, 소비자와 유통업계, 정치권이 각각 상반된 입장을 내놓고 있다.

 

택배노조는 “밤샘 근무로 인한 과로사 위험이 여전히 높다”며 “야간 노동을 줄이고 오전 5시 이후 배송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새벽배송 완전 중단보다는 2교대 근무 체제 도입 등 점진적 개선을 요구하고 있으나, 사실상 현재의 새벽배송 서비스는 중단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반면 소비자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맞벌이 부부와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새벽배송은 이미 생활 인프라”라는 인식이 확산돼 있다. 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새벽배송 이용자의 98.9%가 계속 이용하길 원하며, 서비스 중단 시 64.1%가 불편을 호소했다.

 

유통업계도 비상이다. 쿠팡, 마켓컬리, SSG닷컴 등 주요 업체들은 새벽배송이 사업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금지안이 현실화될 경우 물류망 재편과 대규모 손실이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배송이 주간에 몰리면 교통 혼잡과 물류 지연이 불가피하다”며 “산업 생태계 전반이 흔들릴 수 있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서도 찬반이 뚜렷하다. 한동훈 전 대표는 “새벽배송 금지는 국민의 일상을 멈추게 하는 조치”라며 즉각 철회를 요구한 반면, 장혜영 전 의원은 “노동자의 생명과 건강이 최우선”이라며 제도 도입을 지지했다. 정부는 현재 이해당사자 의견을 수렴 중이며, 연말까지 사회적 합의안을 도출하겠다는 방침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논란이 단순한 근로환경 문제를 넘어 사회 전반의 생활 구조와 산업 시스템을 뒤흔들 사안이라고 지적한다. 한국물류연구원의 김태영 박사는 “야간 배송의 문제는 인력 부족, 물류 효율, 소비자 수요가 얽혀 있다”며 “전면 금지보다는 단계적 조정과 근무 보상 제도 강화가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분석했다.

 

새벽배송 금지 논의는 앞으로도 첨예한 사회적 논쟁이 이어질 전망이다. 과연 이번 논의가 노동자의 권리를 지키면서도 국민의 생활 편의를 유지할 수 있는 해법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한국e마케팅저널 박혜빈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