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YTN 부천시가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들을 위해 ‘찾아가는 소비쿠폰 신청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확대 시행하고 있다. 그동안 소비쿠폰 지원 사업은 어르신 복지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직접 복지센터를 방문하거나 온라인으로 신청해야 하는 불편이 뒤따랐다. 특히 고령층의 경우 인터넷 사용에 익숙하지 않거나, 이동이 쉽지 않아 신청조차 포기하는 사례가 적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천시는 복지 담당 공무원과 생활지원사를 중심으로 직접 가정을 방문하는 맞춤형 서비스를 도입했다. 어르신은 단순히 신청 의사를 밝히기만 하면, 담당자가 집을 찾아와 필요한 서류 작성부터 절차 안내까지 일괄 지원한다. 현장에서 통화 한 번으로 확인을 마치면 신청이 완료되기 때문에, 복잡한 절차를 이해하지 못해 불편을 겪던 어르신들도 손쉽게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실제 서비스를 이용한 한 어르신은 “나이 들어 발걸음하기도 힘든데 직접 와서 다 챙겨주니 마음이 놓인다”며 “쿠폰도 쿠폰이지만 이런 세심한 배려가 더 고맙다”고 소감을 전했다. 현장에서는 이런 만족의 목소리가 이어지며, 제도가 단순한 행정 서비스가 아닌 삶의 질을 높이는 복지정책으로 자리매김하고
▲ 출처 : YTN 서울시가 무주택 청년층 주거 안정을 위해 공급한 ‘청년안심주택’이 보증금 반환 사태로 곤경에 처하면서, 청년 세입자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서울시’와 ‘안심’이라는 이름만 믿고 입주한 청년들은 예상치 못한 문제 앞에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20대 직장인 이 모 씨는 지난해 말 서울 사당동에 위치한 청년안심주택에 입주했다. 당시 전세 사기 문제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진 상태였고, ‘서울시’와 ‘안심’이라는 단어만 믿고 계약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입주 후 현실은 달랐다. 민간 임대사업자의 채무 문제로 인해 약 50여 가구에는 ‘가압류’ 딱지가 붙었고, 총 128세대가 보증금 120억 원 규모의 반환 위기에 몰렸다. 더 문제는 이들 일부 세입자가 계약서에 보증보험에 가입했다고 명시되어 있었던 것과 달리, 사실은 계약 당시부터 보험 가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즉, 보증보험 가입 의무를 위반한 임대인이 계약서상 허위 기재를 한 셈이어서 사각지대가 드러났다. 서울시는 긴급 대책을 발표했다. 우선, 퇴거를 희망하는 ‘선순위 임차인’에게 주택진흥기금 등 공공자금을 활용해 우선적으로 보증금을 돌려주기로 했다. 한편, 전세사기특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