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성의 핵심은 기술도, 설비도 아닌 사람이다. 아무리 자동화가 발전해도 생산현장은 여전히 사람의 판단과 협력이 중심이 된다. 따라서 효율적인 인력관리는 단순한 인원 배치가 아니라, 사람의 능력을 극대화하고 팀 전체의 역량을 하나로 모으는 경영활동이다. 인력관리의 첫 단계는 적재적소 배치이다. 사람마다 능력과 성향이 다르기 때문에, 작업의 특성과 난이도에 맞는 배치가 중요하다. 숙련자가 복잡한 공정을 담당하고, 신입은 단순 반복공정부터 경험을 쌓는 식으로 운영하면 학습 속도와 품질이 동시에 향상된다. 이를 위해 현장의 작업 표준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표준이 명확해야 누구나 일정한 품질로 일할 수 있고, 교육도 효율적으로 진행된다. 두 번째는 교육훈련과 동기부여이다. 교육은 단순히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품질과 안전의 중요성을 체득하게 만드는 과정이다. 특히, 작업자가 자신의 역할이 전체 생산 흐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이해하면, 스스로 개선 아이디어를 내고 책임감을 갖게 된다. 또한 성과에 따른 보상과 인정은 지속적인 동기부여의 원동력이 된다. 세 번째는 협업과 소통이다. 현장의 효율은 개인의 능력보다 팀워크에서 나온다. 작업자와 관리자가 서로 신뢰하
작업표준화는 생산현장에서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관리 활동이다. 제품을 만드는 사람이 바뀌어도 같은 품질을 유지하려면, 누구나 동일한 방법으로 작업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작업 절차, 기준, 순서를 문서화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바로 작업표준화이다. 작업표준화의 목적은 단순히 규칙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변동을 최소화하고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표준이 없는 현장은 사람마다 작업 방식이 달라 불량이 늘어나고, 작업 시간이 일정하지 않아 생산성이 떨어진다. 반면 표준화된 작업 환경에서는 누구나 정해진 절차에 따라 일하기 때문에 품질이 일정하고, 신규 인력도 빠르게 적응할 수 있다. 작업표준화는 보통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첫째, 작업 순서(Standard Operation Procedure, SOP)이다. 어떤 순서로, 어떤 도구를 사용해, 어떤 기준으로 작업해야 하는지를 명확히 규정한다. 둘째, 작업 기준(Standard Condition)이다. 예를 들어, 용접 온도, 압착력, 치수 허용오차 등 구체적인 품질 기준을 명시한다. 셋째, 작업 시간(Standard Time)이다. 각 공정별 표준 시간을 정해 생산계획과 납기관리